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SDN - Plane, Northbound & Southbound
    네트워크 2022. 9. 2. 15:19

    SDN 은 사용자 중심으로 네트워크 장비를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분리한다.

     

    Network Layer(L3 구간)는 Host - to - Host 를 담당하는 레이어이다. 인터넷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 존재함.

   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은 크게보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    - Forwarding(포워딩) : "앞으로 보내는 기능" // ex. IP

    - Routing(라우팅) : "길 찾기 기능" // ex. 라우팅 프로토콜(OSPF, BGP 등)

     

    네트워크 계층을 두 계층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.

     Data Plane // 포워딩과 관련된 계층 [실제 패킷(데이터)를 전달하는 계층]

     Control Plane // 라우팅과 관련된 계층

     

    SDN의 컨셉을 간단히 설명하면, Decoupling 이다.

    기존의 라우터는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이 하나의 라우터에 묶여있었다면,

    SDN의 컨셉은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을 분리한다.

    라우터는 데이터 패킷의 포워딩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,

    기존의 Control Plane이 하던 라우팅은 원격의 중앙 집중화된 서버에서 담당하도록 한다. 

    이 원격 서버를 SDN 컨셉에서는 SDN Controller라고 한다.

    대표적인 SDN Controller로는 ODL(OpenDaylight), ONOS(Open Networking Operating System) 등이 있다.

     

    SDN 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Application, Control, Infrastructure 총 3개의 Layer로 분리한다.

    Layer Open Interface를 통해 통신하는데,

    Network Control Layer와 Infrastructure Layer  Interface Southbound API라 부른다.

    이 영역에 포함된 것이 Open Flow이다.

    * API = a contract that describes how various components communicate and exchange data with each other.

    Network Control Layer  Application Layer  Interface Northbound API라 부른다.

    Data plane들의 집합체를 Infrastructure라 부른다. 수 많은 Data Plane들이 존재한다.

    SDN이 Infrastructure Layer는 논리적으로 마치 한대의 네트워크 장비가 동작되는 것처럼 운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함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REST API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)

    = 자원을 표현(이름)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모든 것

     

    사용 이유

    ‘애플리케이션 분리 및 통합’
    ‘다양한 클라이언트의 등장’
    최근의 서버 프로그램은 다양한 브라우저와 안드로이폰, 아이폰과 같은 모바일 디바이스에서도 통신을 할 수 있어야 한다.
    이러한 멀티 플랫폼에 대한 지원을 위해 서비스 자원에 대한 아키텍처를 세우고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한 결과, REST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.

    SDN Controller 와 어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위해 사용..

     

    OPENFLOW 

    •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스위치망을 통해 네트워크 패킷의 경로를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(SDN) 프로토콜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출처: https://wookiist.dev/26

    https://gaeddong2.tistory.com/entry/SDN-SND-네트워크-구조 [Gaeddong's:티스토리]

    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9/21/rest-and-restful.html

    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컨피그 자동화 툴  (0) 2022.09.20
    VRRP/ HSRP/ FHRP / GLBP  (0) 2022.09.14
    MPLS (Multi-Protocol Label Switching)  (0) 2022.08.26
    라우팅 프로토콜 (7.25 ~ 계속 업데이트)  (0) 2022.07.25
    서브넷  (0) 2022.04.08
Designed by Tistory.